[지식] Linux 리눅스 권한(ACL)을 알아보자!
·
개발자 세릴리/비전공자 한 입 지식
ACL이란? Access Control List의 약자로 파일과 디렉토리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관리합니다. 권한? 표현의 첫 시작이 d면 폴더, -면 파일입니다. r,w,x는 각각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나타냅니다. 이 표시가 3번에 걸쳐 나타나는 이유는 사용자, 그룹, 나머지의 권한을 각각 표시해주기 때문입니다. *사용자와 소유자? 사용자는 현재 OS에 로그인한 user를 말합니다. 소유자는 파일에 접근 권한이 있는 user를 말합니다. 현재 제 컴퓨터의 root 경로에서 권한을 확인해보면, 폴더가 없기 때문에 d로 시작하는 것은 뜨지 않습니다(모두 파일이라는 뜻) 예시로 해석해 보자면, -rw-r--r--는 소유자는 읽기와 쓰기, 다른 그룹과 나머지는 읽기만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chmod?..
[지식] Linux란? 리눅스가 뭔가요?
·
개발자 세릴리/비전공자 한 입 지식
OS란? Operating System의 약자로, 운영체제를 뜻합니다. 대표적으로 Window, macOS등이 있습니다. 리눅스는 이런 운영체제 중 하나입니다. 리눅스란? 리눅스는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는 Unix 기반 운영체제입니다. 대표적으로 Chrome과 android가 이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이죠. *커널? 운영체제의 핵심이며 장치 메모리를 관리하고 프로세스를 관리한다. 리눅스 커널은 오픈 소스이므로 커스텀 OS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리눅스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또한 무료 오픈 소스이기 때문에 누구나 코드를 바꿀 수 있고, 재배포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재배포된 버전 중 하나가 흔히들 알고 있는 우분투(Ubuntu)인 것입니다. 배포판? 리눅스에서 작동하는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을 하나의 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