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2022)대전 폴리텍 하이테크과정 - 기숙사 / 급식 등 일상
·
개발자 세릴리/일상
우선 저도 기숙사 들어가기 전에 어떻게 생겼는지 너무 궁금해서 유튜브로 겨우겨우 찾아보며 정보를 얻었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그런 수고로움을 덜으셨으면 하는 바람으로 작성했습니다. 아래사진은 처음 막 기숙사에 도착해서 찍은 사진입니다ㅎㅎ 이때는 룸메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후다닥 사진을 찍은 기억이 나네요. 넓진 않지만 생활에 필요한 가구는 모두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모든 것이 두 개씩 있었습니다. 침대2 책상2 옷장2 신발장2 ㅎㅎ 짐을 넣기 전 책상입니다. 책상도 그렇게 크다고는 할 수 없지만 혼자 사용하기엔 딱 좋습니다ㅎㅎ 그리고 방마다 개별 화장실이 있습니다👍🏻 대학생때 공용 샤워실을 썼었던터라 조금 걱정한 부분이었는데 다행히 개별화장실이라 편하게 잘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세면대 물이..
[스토리] 비전공자 IT 개발자로 취업하기(4) - 비전공자가 취득할 수 있는 IT 자격증
·
개발자 세릴리/비전공자 한 입 지식
비전공자가 취득할 수 있는 IT 자격증 안녕하세요! 오늘은 비전공자 개발자의 자격증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QnA 형식으로 적어봤는데요, 재밌게 봐주시고 궁금하신 점은 언제든 물어봐주세요! 아는 선에서 최대한 성실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 Q. 자격증 보유 여부가 취업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던데 사실인가요? A.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하이테크 과정을 시작하고 교수님들이 말씀하시길, 정보처리기사 보유 여부로 연봉이 100만원씩 차이가 난다며 딸 수 있을때 미리 따라고 압박(?)을 줬었습니다. 실제로 제가 정보처리기사 필기만 합격한 상태로(사실상 없는 상태) 면접을 여러군데 보았지만, 어느 곳도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요구하지 않았었고 자격증 가져오면 연봉 올려준다는 얘기도 못들었습니다. 하지만 전..
[스토리] 비전공자 IT 개발자로 취업하기(3) - 폴리텍대학 하이테크과정 면접 후기
·
개발자 세릴리/비전공자 한 입 지식
폴리텍대학 하이테크과정 면접 후기 폴리텍대학의 하이테크과정은 학사학위(전문학사, 휴학생 포함)를 가지고 있는 인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입니다. 제가 선택한 폴리텍대학 대전캠퍼스는 소프트웨어(타대학 컴퓨터공학과) 학과를 두 가지 방법으로 모집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졸업 후 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2년제 학위 과정이고, 하나는 위에서 설명한 하이테크 과정입니다. 저는 학사 학위가 있는 상태라 하이테크 과정을 지원했고 하이테크 과정은 정시 1차 2차로 나누어 모집을 합니다. 저는 2차에 지원을 하게 됐고, 2차는 보통 1차보다는 더 적은 인원을 뽑습니다. 1,2차 시기와 인원은 확정되어 처음부터 공지됩니다. 2차가 적은 인원을 뽑는다는 것을 알고 면접장에 갔지만 저는 세 가지 이유로 놀랐습니다. ..
[스토리] 비전공자 IT 개발자로 취업하기(2) - 개발자 교육
·
개발자 세릴리/비전공자 한 입 지식
비전공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개발자 교육 2021년 12월 당시 제가 고민하던 방법은 총 네 가지 였습니다. 1. 국비지원 코딩학원 2. 부트캠프 학원 내돈내산 3. 각종 정부 지원 정책 활용 4. 독학! 이 네 가지 범주에서 고민을 많이 했고, 이미 국민취업지원제도를 진행중에 있었기 때문에 1번과 3번 중에 선택하기로 마음을 먹고 있었습니다. 2번인 부트캠프는 불투명한 미래에 큰 돈을 들이고 싶지 않았고(더군다나 K-디지털 훈련의 일환으로 다양한 곳에서 무료 교육을 진행하고 있었다) 4번인 독학은 당시 과연 이 길이 나와 맞을까, 하는 고민이 많았고 스스로 애착을 가지고 할 수 있을까 의구심이 들었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참고로 저는 지방에서 살고있기 때문에 이 점 참고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스토리] 비전공자 IT 개발자로 취업하기(1) - 개발자가 된 이유
·
개발자 세릴리/비전공자 한 입 지식
안녕하세요 세릴리입니다! 저는 여러 직업군을 거쳐 현재 개발자로 일을 시작한지 5개월차인데요, 제가 개발자가 되기까지의 과정, 왜 개발자가 됐는지 등을 시리즈로 풀어가볼까 합니다. 왜 개발자였나? 처음 풀어볼 이야기는 바로, "왜 개발자가 되었나?" 입니다. 저는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공무원으로 취업을 했습니다. 현재까지도 저의 과거 직업을 말하면 공통적으로 듣는 질문들이 있습니다. 그 좋은 평생직장을 왜 그만뒀어? 여자면 공무원이 최고지! 후회하겠네... 아마 이 글을 처음 보시는 분들도 의아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결론만 말씀드리자면 저는 그때의 선택을 후회하지 않습니다. 왜냐면 지방 발령과 짧게는 1년, 길게는 3년 마다 부서 이동이 불가피한 직군이었기 때문이었죠. 이러한 지역이동을 과연 정년퇴직까..